- 학교 급식에도 ‘녹색 바람’ 확산
- 제니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도입된 학교 채식 급식이 확산 되고 있습니다.
학생들도 채식 급식에 만족하면서, 앞으로 학교 식단에 녹색 바람이 확산 될 전망입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점심시간을 앞두고 급식으로 제공할 음식이 배식 대에 놓였습니다.
피망 잡채에 브로콜리, 다시마, 시래기 청국장, 김치 등 모두가 채식입니다.
1주일에 하루인 채식 급식의 날입니다.
<인터뷰> 김소원(초등학교 6학년): 여러 가지 채소들을 많이 맛있게 먹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인터뷰> 국보경(초등학교 5학년): 콩밥을 먹을 때가 좀 힘들어요. 힘들어도 그래도 먹을 거예요.
전북 교육청이 한 초등학교 학생 72명을 상대로 채식 급식에 대해 물어봤더니, 59%의 학생이 만족했고, 16%는 불만스럽다고 답했습니다.
또 절반이 넘는 학생이 좋아하지 않아도 먹으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렇지 않은 학생은 13%에 불과했습니다.
학생의 82%는, 채식급식을 계속 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하지만, 단조로운 식단을 보완하기 위해 튀김류 등 보조 식의 활용이 늘고 중·고등학교에서 남학생의 선호도가 낮은 것은 과제로 지적됐습니다.
<인터뷰> 서규용 (대야 초등학교 교장): 식단의 다양화가 돼야 할 텐데, 그런 부분에서 선생님들이 개발해야 할 것으로
지난해 20개였던 채식급식 학교는, 올해 43개로 늘었습니다.
<인터뷰> 황 옥(전북교육청 급식담당 장학사): 자율성을 존중하여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신청 학교에는, 관련 기자재를 대폭 지원해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시작된 학교 식단의 녹색 바람이 확산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학생들도 채식 급식에 만족하면서, 앞으로 학교 식단에 녹색 바람이 확산 될 전망입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점심시간을 앞두고 급식으로 제공할 음식이 배식 대에 놓였습니다.
피망 잡채에 브로콜리, 다시마, 시래기 청국장, 김치 등 모두가 채식입니다.
1주일에 하루인 채식 급식의 날입니다.
<인터뷰> 김소원(초등학교 6학년): 여러 가지 채소들을 많이 맛있게 먹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인터뷰> 국보경(초등학교 5학년): 콩밥을 먹을 때가 좀 힘들어요. 힘들어도 그래도 먹을 거예요.
전북 교육청이 한 초등학교 학생 72명을 상대로 채식 급식에 대해 물어봤더니, 59%의 학생이 만족했고, 16%는 불만스럽다고 답했습니다.
또 절반이 넘는 학생이 좋아하지 않아도 먹으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렇지 않은 학생은 13%에 불과했습니다.
학생의 82%는, 채식급식을 계속 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하지만, 단조로운 식단을 보완하기 위해 튀김류 등 보조 식의 활용이 늘고 중·고등학교에서 남학생의 선호도가 낮은 것은 과제로 지적됐습니다.
<인터뷰> 서규용 (대야 초등학교 교장): 식단의 다양화가 돼야 할 텐데, 그런 부분에서 선생님들이 개발해야 할 것으로
지난해 20개였던 채식급식 학교는, 올해 43개로 늘었습니다.
<인터뷰> 황 옥(전북교육청 급식담당 장학사): 자율성을 존중하여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신청 학교에는, 관련 기자재를 대폭 지원해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시작된 학교 식단의 녹색 바람이 확산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