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탐구
자녀 진로를 위한 여러분의 선택은?
참여 글 수 39개  조회수 5,727
기간: 2014.10.14 ~ 2014.11.17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 13) 30여일 남았습니다.
3 수험생이 수능시험에 대비하면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진로를 선택할 때 주변 사람들, 그 중에서도 부모님의 조언을 참조해 결정한다고 합니다.  
2012
년 부모와 고등학생 자녀의 선호 직업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자녀, 부모 모두 1, 2위로 교사, 공무원을 꼽았고,
‘선호 직업을 선택한 기준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대부분 ‘적성’ 때문이라고 답했고,
‘누가 가장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는 ‘부모’라는 대답이 44%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부모 자신의 학창시절을 생각하며 자녀에게 일부 직업 및 진로를 강요한 결과가 아닐까 생각되는 대목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부 직업으로 쏠림과 기피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자녀들의 선호 직업 10위 안에는 요리사, 연구원,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직업이 등장하고 있으나,
여전히 학생들이 알고 있는 직업의 폭이 좁아,
현재 고등학생들이 이름을 알고, 설명할 수 있는 직업은 30여 개를 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 좁은 범위 내에서 고른 직업은 확률적으로 자신의 적성, 흥미와 맞기 어렵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직업은 1만 개가 넘고, 세계적으로는 2~3만 개의 직업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교육 전문가들은 초등학생은 50, 중학생은 70~80, 고등학생은 150개 정도의 직업을 알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직원 채용시 출신대학보다는 능력을 우선시 하는 추세라고는 하나,
여전히 적성에 맞는 학과보다는 일류대학의 간판을 중시하는 분위기는 무시할 수 없습니다. 
반면 ‘행복한 사람은 성공한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일, 잘 할 줄 아는 일을 즐겁게 하는 사람이 가장 행복한 사람이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현실이상사이에서 현명한 선택을 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자녀의 행복한 삶을 위해 수능성적에 맞춰 학교를 선택하도록 하시겠습니까,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도록 하시겠습니까?
실제로 내 아이 또는 주변에서 진로고민을 했던 사례가 있으시면 공유해 주세요

 

=========================================


* 진로 교육은 자신의 흥미, 적성, 성격, 가치관 등 자신에 대해 알고, 다양한 직업 세계와 미래의 트렌드를 알아가는 것입니다.

시기별 진로 교육 방법을 보면,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 인식’의 단계로 직업에 대해 좋은 감정을 갖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아이가 어떤 직업에 관심을 가졌을 때 “그 직업은 힘들어” “돈을 못 벌어” 등 특정 직업에 대해 부정적인 말은 삼가고, 자녀의 흥미를 관찰하고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학교 시기는 ‘진로 탐색’의 시기로 적성을 발견하고 ‘자기 이해’를 하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적성은 흥미, 재능, 성격, 가치관에 따라 찾는 게 중요한데, 꾸준히 대화를 하며 찾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고등학교 시기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보고 진로 선택해야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문과 이과를 선택하기 전, 어느 길을 선택 할 것인지 적성과 능력에 대한 판단이 내려 져야 구체적인 진로나, 진학 상담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 현재 : 참여자 35명 | 참여 글 수 39명
  • 목록
  • 닉네임
  • 내용
와이즈에듀 집중 탐구 목록
39
아이를 성적 순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능력과 자질을 고려해 교욱하는 것이 자녀의 미래에 더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흥미와 적성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큰눈이 | 2014.11.17   
38
자신이 원하는 과 자신의 좋아하는곳으로
선택을 해야 합니다.
별 | 2014.11.16   
37
자신이 좋아하는 걸로 해야 해요. 학벌 따라가다보면 숨이 막혀와요
럭키줌마 | 2014.11.15   
36
학벌이 중요하다 하지만 평생 영향을 받기에 아이의 적성에 맞는 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것 같아요. 주변에 자신이 나온 과와 상관없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인생은 기니깐 학벌보단 자신이 정말 좋아하고 되고 싶은 것과 관련된 과에 보내야 된다고 생각해요.
행복만땅네 | 2014.11.15   
35
아이의 미래를 생각한다면....적성이 우선시^^
정말 잘하는 일...잘 할 수 있는 일...아이가 좋아하는 일...^^
kjw7464 | 2014.11.15   
34
아무래도 성적관련해서 그냥 맞춰서 학교를 가게되죠..
아 슬픈현실.... 학벌이 정녕 중요할까요 아직 의문이지만.. 사회가 원하는 것은 바로 그 네임벨류네요.
욜라숑 | 2014.11.15   
33
수능 보는날 아직 아인 8년 정도 남았네요. 아이를 그때까지 제대로 된 길로 가게 해야 하는데.. 어렵네요
행복해지기 | 2014.11.14   
32
전 아이가 무조건 원하는 쪽으로 믿고 따르려합니다
dokdodupae9 | 2014.11.14   
31
아이의 적성을 고려하는게 당연하겟죠.중학교때 선생님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인지 울애는 진로가 바뀌질 않네요..
미리네 | 2014.11.14   
30
저는 아이의 적성을 보고 선택하라 했어요.그런데 대학 갈때 조금 선택의폭이 적어서 힘은 들었지만 아이가 4년제 대학에 합격 햇음에도 전문대쪽의 전공을 택하더군요.남에게 보여주기보단 실속을 차리겠다구요.이름있는 4년 대학 나와서 실업자 되느니 남들이 알아주진 않아도 비전을 보겠다구요.많이 아쉬웠지만 미래를 보렵니다.
고딩맘 | 2014.11.13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