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이즈에듀 이슈톡
  • 이슈톡에 글쓰기
  • 내년 공립유치원 느는데 교사는 태부족
  • 제니 

대전과 충남 등 전국적으로 내년에 유치원 교사 인력난이 예고되면서 교육과정도 파행 운영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국적으로 1000개 이상 학급 수가 늘어나지만 교사 정원은 180여명에 불과해 교사 인력난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5일 시·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유치원 교육은 올해 5세에만 적용 시행된 누리과정이 내년부터 만 3-4세아로 확대되면서 그에 따른 교육비 지원이 늘어난다.

내년부터 3세와 4세가 혼합연령 학급이 아닌 각각 별도의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이런 정책 변화는 유치원 교육수요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와 내년에 총 1077개의 학급이 늘어난다.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인력 증·감을 담당하는 행정안전부에 필요한 교원 1295명(원장, 원감, 교사 포함)을 증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행안부는 재정 여건 등을 이유로 단설유치원의 원장과 교사 정원 182명만 증원을 허용한 상태다. 전체 필요 인력의 14%에 불과한 수다.

한국교총 등 교육계는 전국 7500여개의 공립유치원 학급 중 3000여개가 혼합연령학급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급 증설과 함께 교원 증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연령별로 구성된 누리과정을 운영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대전의 경우 2013학년 공립유치원에 총 34학급이 증설될 예정. 대부분은 만 3-4세아를 대상으로 한 학급이다.

이에 따라 교사 정원도 34명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 하지만 대전교육청이 배정받은 교사 정원은 4명에 불과하다. 결국 필요한 30명의 교사 인력을 기간제교사로 대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충남교육청 역시 내년에 증설되는 공립 유치원의 학급 수는 총 19학급이지만 교사 정원은 단 한명도 받지 못했다.

충남은 특히 내년에 증설되는 19학급을 포함해 총 69명의 기간제교사가 공립유치원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할 상황이다. 따라서 기간제교사 인력분 69명 모두를 정교사로 증원 배치해 주길 정부에 요구하고 있지만 현실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교사 부족으로 인해 학급이 증설되는 유치원의 경우 원아모집이 이뤄지지 않거나 기간제교사로 충당할 수밖에 없어 교육과정이 파행 운영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남교육청 관계자는 교원 증원이 안 될 경우 소속감이 떨어지고 신분에 대한 불안감이 커 이직이 잦은 기간제교사로 운영할 수밖에 없어 원활한 학급운영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유아교육대표자연대는 이날 정부에 여러 부처 공무원 정원과 연동된 정시 정원으로 확보가 어렵다면 수시 정원 조정을 통해서라도 신·증설된 유치원 학급 운영에 필요한 교사를 100% 확보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교과부와 행안부는 유치원 교원 정원 증원과 관련해 현재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태영 기자

+10
소감쓰기
리뷰소감목록